리투아니아 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투아니아 철도(Lietuvos geležinkeliai)는 리투아니아의 국영 철도 회사로, 1991년 독립 복원법에 따라 설립되었다. 여객 수송은 LTG 링크, 화물 수송은 LTG 카고, 철도 인프라 관리는 LTG Infra가 담당한다. 1860년 개통된 상트페테르부르크-바르샤바 철도를 기원으로 하며, 제1차 세계 대전, 소련 점령 등 역사를 거쳐 1991년 독립 이후 현재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여객 및 화물 운송, 인프라 유지보수가 있으며, 유럽과 중국 간 컨테이너 열차 서비스, 레일 발티카 프로젝트 등 국제 협력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리투아니아 철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AB Lietuvos geležinkeliai |
영어 명칭 | Lithuanian Railways (리투아니아 철도) |
그룹 명칭 | LTG Group (LTG 그룹) |
유형 | 공공 기업 그룹 |
산업 | 철도 운송, 화물 운송, 서비스 |
설립 | 1860년 (최초 철도), 1919년 (공식), 1991년 (현재 회사) |
설립자 | 알 수 없음 |
소재지 | 빌뉴스, 리투아니아 |
주요 인물 | 에기디유스 라자우스카스 (Egidijus Lazauskas, 총괄 매니저), 케스투티스 Šliužas (Kęstutis Šliužas, 회장) |
모회사 | 리투아니아 교통통신부 |
자회사 | LTG Link, LTG Cargo, LTG Infra |
웹사이트 | LTG 공식 웹사이트 |
재무 정보 | |
수익 | 감소, 4억 3410만 유로 (2022년) |
영업 이익 | 감소, 570만 유로 (2022년) |
순이익 | 감소, 120만 유로 (2022년) |
자산 | 증가, 22억 8천만 유로 (2022년) |
자본 | 감소, 11억 6150만 유로 (2022년) |
직원 수 | |
직원 수 | 감소, 6,126명 (2022년) |
2. 역사
1851년 러시아 제국 정부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바르샤바 간 철도 부설을 결정하면서 리투아니아 철도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노선은 1860년 완공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제국군에 의해 군수물자 수송에 활용되기도 했다.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 이후, 1919년 독일 정부로부터 철도 자산을 양도받아 리투아니아 철도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1940년 소비에트 연방의 점령과 1941년 나치 독일의 점령을 거치면서 리투아니아 철도는 광궤와 표준궤로 변경되는 등 변화를 겪었다. 1944년 소련이 다시 리투아니아를 지배하면서 철도는 다시 광궤로 변경되었고, 발트 3국의 철도 사업은 라트비아 리가에서 통합 운영되었다.
1991년 리투아니아 독립 이후, 리투아니아 철도(Lietuvos geležinkeliai)가 설립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이후 여객 서비스는 ''LTG 링크(LTG Link)'', 화물 수송은 ''LTG 카고(LTG Cargo)'', 철도 인프라 유지 보수는 ''LTG 인프라(LTG Infra)''가 담당하는 등 여러 자회사를 통해 전문화되었다.
2000년대 후반에는 폴란드 석유 회사와의 갈등으로 인해 국경 간 노선이 해체되었다가 복구되는 사건이 있었으며, 유럽 연합으로부터 경쟁법 위반으로 벌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2010년대 후반부터는 중국, 벨라루스 등과의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레일 발티카(Rail Baltica)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철도 전철화를 확대하고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는 등 현대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2020년 7월, 리투아니아 철도 창립 101주년을 기념하여 새로운 로고를 발표하고, 약칭을 "LG"에서 "LTG"로 변경했다.
2. 1. 초기 역사 (19세기~소련 시대)
1851년, 러시아 제국 정부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바르샤바 간 철도 부설을 결정했다. 노선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다우가프필스, 빌뉴스, 카우나스, 비르발리스 등을 거쳐 바르샤바로 이어졌으며, 1858년 건설을 시작하여 1860년 완공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1915년 독일 제국이 리투아니아를 점령했다. 리투아니아 철도망은 독일군의 식량과 무기 수송에 이용되었다. 종전 후 1918년 2월 16일 리투아니아는 독립을 선언했다. 1919년 7월 4일, 독일 정부는 철도 자산을 리투아니아 정부에 양도하기로 합의했다.
이후 리투아니아 철도는 더욱 세분화된 철도망을 구축했다. 1923년 클라이페다 지방(메멜란트)이 리투아니아에 편입되었고, 클라이페다 항이 리투아니아 철도 시스템의 일부로 통합되었다. 1940년 소비에트 연방이 리투아니아를 점령하면서 철도 사업은 재편되었고, 리투아니아와 다른 국가 간 체결된 협정은 모두 파기되었다. 1941년 나치 독일이 리투아니아를 점령하자 철도망은 광궤에서 표준궤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1944년 소련이 다시 리투아니아를 지배하면서 광궤로 되돌려졌다. 소련 시대, 발트 3국 철도 사업은 모두 라트비아 리가에서 운영되었다.
2. 2. 독립 이후 (1991년~현재)
독립 복원법에 따라 1991년에 ''리투아니아 철도(Lietuvos geležinkeliai)''가 설립되었다.[5] 이 회사는 여러 자회사를 통해 다양한 철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여객 서비스는 ''LTG 링크(LTG Link)''가, 화물 수송은 ''LTG 카고(LTG Cargo)''가 담당한다. 철도 인프라 유지 보수 및 개발은 ''LTG 인프라(LTG Infra)''가 담당한다.[1]2008년, 폴란드 석유 회사 PKN 오를렌(PKN Orlen)이 리투아니아 마제이키아이(Mažeikiai) 정유소에서 벤츠필스(Ventspils)의 라트비아 항구로 화물을 우회하려는 계획에 대응하여, 리투아니아 철도는 국경 간 노선을 일방적으로 해체했다. 2017년, 유럽 연합 (EU) 유럽 위원회 (EC)는 노선 제거가 유럽 연합 (EU) 경쟁법을 위반했다며 리투아니아 철도에 2787만유로의 벌금을 부과했다. 2020년에는 940만유로의 비용으로 국경 간 노선과 화물 서비스가 복구되었다.[6]
2017년 5월, 리투아니아 철도는 유럽과 중국 간의 새로운 국제 탱크 컨테이너 열차 서비스 출범을 지원했다.[7] 같은 해 9월에는 리투아니아와 벨라루스 간에 최초의 전철화된 국경 간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8] 2018년 5월 29일, 발트 3국의 철도 회사들은 탈린(Tallinn)과 리가(Riga)를 셰스토카이(Šeštokai)의 리투아니아-폴란드 국경까지 연결하는 ''앰버 트레인(Amber Train)''이라는 복합 화물 서비스 출범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여 표준 궤 네트워크로 환적할 수 있도록 했다.[9] EU 자금은 이러한 사업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다.[10] 2010년대 후반, 리투아니아 철도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화물 교통량이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수익도 증가했다.[11]
2018년부터 2019년까지, 회사의 화물 수송, 여객 수송 및 철도 인프라 부서는 ''LG 카고(LG CARGO)'', ''LG 켈레이비암스(LG Keleiviams)'', ''리투아니아 게레진켈류 인프라스트럭투라(Lietuvos geležinkelių infrastruktura)''로 재편되었다.[12][1] 지주 회사인 ''LTG 그룹(LTG Group)''도 설립되었으며, 국영 기업으로 유지되었고, 조직에 재투자되지 않은 초과 이익은 리투아니아 정부에 지급된다.[2][13] 리투아니아 국기의 색상을 반영하고 움직임을 상징하는 새로운 그룹 로고도 이 시기에 채택되었다. 2020년 후반에는 이러한 재편성이 리투아니아 철도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EU 법규를 준수하면서 긍정적인 성장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
LTG 인프라가 추진하는 핵심 인프라 투자 중 하나는 레일 발티카(Rail Baltica) 프로젝트로,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와 에스토니아 수도 탈린(Tallinn) 사이에 표준 궤 고속 철도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4] 이 프로젝트의 리투아니아 구간은 392km의 노선이 전국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기존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철도 노드가 카우나스(Kaunas)에 건설될 예정이다.[15] 2010년대 후반에는 2030년까지 리투아니아 철도 네트워크의 39%를 전철화하겠다는 목표를 포함한 광범위한 철도 전철화 전략이 발표되었다. (2020년까지 8% 전철화).[2] 다른 투자 분야로는 복선화, 통신 시스템 개선, 여객 정보 시스템, 에너지 효율화 계획, 정기 유지 보수, 소음 감소, 궤도 갱신 프로그램 등이 있다.[2] 2021년에는 핵심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가 2.289억유로로 두 배로 증가했으며, 이 중 대부분은 인프라 관련 작업에 투입되었다.[2]
2020년 5월, 독일과 리투아니아 간의 시험 화물 열차가 LTG 카고와 독일의 복합 화물 전문 업체 카고빔(CargoBeamer)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운영되었다.[16] 그 해 9월에는 LTG 링크(LTG Link)와 폴란드 운영업체 PKP 인터시티(PKP Intercity)가 빌뉴스(Vilnius)와 바르샤바 간의 국경 간 도시간 여객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기 위한 의향서에 서명했다.[17] 2021년 3월, 독일 IVU 트래픽 테크놀로지스(IVU Traffic Technologies)가 리투아니아 철도에 디지털 자원 계획 및 실시간 교통 관리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8] 같은 해, 리투아니아 철도는 하이브리드 솔루션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전기 동력 공급을 위한 여러 입찰 초대를 발행했다.[19][20]
2022년 4월, LTG 링크(LTG Link)는 서비스, 고객 서비스 채널 및 여행 계획 도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티켓팅 웹사이트를 출시했다. 이 출시는 2년 전에 약속되었던 새로운 스마트 카드 시스템의 도입과 연결되었다.[21] 2022년 10월에는 ABB에 빌뉴스(Vilnius)와 클라이페다(Klaipėda) 사이의 730km 노선에 25kV 교류 전철화 장비를 공급하는 계약이 체결되었다.[22]
2024년 3월까지, 운영업체는 소프트웨어 제공업체인 디스트리뷰션(Distribusion)을 통해 구글 지도와의 첫 번째 통합을 완료하여 플랫폼을 통해 일정 및 티켓팅 서비스를 제공했다.[23]
2. 3. 분쟁 및 사건
2008년, 폴란드 석유 회사 PKN 오를렌(PKN Orlen)이 리투아니아 마제이키아이(Mažeikiai) 정유소에서 벤츠필스(Ventspils)의 라트비아 항구로 화물을 우회하려는 계획에 대응하여, 리투아니아 철도는 이를 막기 위해 국경 간 노선을 일방적으로 고의로 해체했다.[6] 2017년, 유럽 연합 (EU) 유럽 위원회 (EC)는 노선 제거로 인해 유럽 연합 경쟁법을 위반한 리투아니아 철도에 27870000EUR의 벌금을 부과했다. 2020년에는 국경 간 노선과 화물 서비스가 9400000EUR의 비용으로 복구되었다.[6]3. 운영 및 서비스
리투아니아 철도(Lietuvos geležinkeliai)는 독립 복원법에 따라 철도를 운영하기 위해 1991년에 설립되었다.[5] 이 회사는 여러 자회사를 통해 다양한 철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 회사의 각 부서는 별도 회사로 재편되었으며, 지주 회사인 ''LTG 그룹(LTG Group)''도 설립되었다.[12][1] 리투아니아 국기의 색상을 반영하고 움직임을 상징하는 새로운 그룹 로고도 이 시기에 채택되었다.
2017년 9월에는 리투아니아와 벨라루스 간에 최초의 전철화된 국경 간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8] 2018년 5월 29일, 발트 3국의 철도 회사들은 탈린(Tallinn)과 리가(Riga)를 셰스토카이(Šeštokai)의 리투아니아-폴란드 국경까지 연결하는 ''앰버 트레인(Amber Train)''이라는 새로운 복합 화물 서비스 출범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여 표준 궤 네트워크로 환적할 수 있도록 했다.[9] 유럽 연합 자금은 이러한 사업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다.[10]
2020년 9월에는 LTG 링크(LTG Link)와 폴란드 운영업체 PKP 인터시티(PKP Intercity)가 빌뉴스(Vilnius)와 바르샤바 간의 국경 간 도시간 여객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기 위한 의향서에 서명했다.[17] 2021년 3월, 독일 IVU 트래픽 테크놀로지스(IVU Traffic Technologies)가 리투아니아 철도에 디지털 자원 계획 및 실시간 교통 관리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8] 같은 해, 리투아니아 철도는 하이브리드 솔루션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전기 동력 공급을 위한 여러 입찰 초대를 발행했다.[19][20]
2022년 4월, LTG 링크(LTG Link)는 새로운 티켓팅 웹사이트를 출시하여 서비스, 고객 서비스 채널 및 여행 계획 도구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했다. 이는 2년 전에 약속되었던 새로운 스마트 카드 시스템의 도입과 연결되었다.[21]
2024년 3월, LTG는 소프트웨어 제공업체인 디스트리뷰션(Distribusion)을 통해 구글 지도와의 첫 번째 통합을 완료하여 플랫폼을 통해 일정 및 티켓팅 서비스를 제공했다.[23]
리투아니아 철도는 리투아니아 국내에 총 연장 1,877.2km의 노선망을 가지고 있으며, 여객 수송 및 화물 수송을 하고 있다. 노선망의 대부분은 광궤이지만, 레일 발티카에 의해 폴란드와의 국경에서 카우나스까지 구간에 표준궤가 부설되어 있다(일부 구간은 광궤와의 사선 궤조를 포함). 이 표준궤 네트워크는 향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로 이어질 계획이다. 또한, 카우나스에서 빌뉴스 및 벨라루스와의 국경 구간, 그리고 그 근교의 총 122km가 전철화되어 있다.
LTG는 179km의 협궤 네트워크도 가지고 있었지만, 2001년에 아욱슈타이티야 협궤 철도(Aukštaitijos siaurasis geležinkelis, ASG)사에 분리되었으며, 그중 68km는 현재 관광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3. 1. 여객 수송 (LTG Link)
2006년 리투아니아 철도의 여객 수송 실적은 620만 명이었다.[25]3. 2. 화물 수송 (LTG Cargo)
리투아니아 철도(Lietuvos geležinkeliai)의 자회사인 ''LTG 카고(LTG Cargo)''는 화물 수송을 담당한다.[1] 2010년대 후반, 리투아니아 철도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화물 교통량이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수익도 증가했다.[11]2018년부터 2019년까지 회사의 화물 수송 부서는 ''LG 카고(LG CARGO)''라는 별도 회사로 재편되었다.[12][1] 2020년 5월, 독일과 리투아니아 간의 시험 화물 열차가 LTG 카고와 독일의 복합 화물 전문 업체 카고빔(CargoBeamer)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운영되었다.[16]
2006년 리투아니아 철도의 화물 수송량은 5,000만 톤이었다. 주요 화물은 석유이다.[25]
2008년, 폴란드 석유 회사 PKN 오를렌(PKN Orlen)이 리투아니아 마제이키아이(Mažeikiai) 정유소에서 벤츠필스(Ventspils)의 라트비아 항구로 화물을 우회하려는 계획에 대응하여, 리투아니아 철도는 이를 막기 위해 국경 간 노선을 일방적으로 고의로 해체했다. 2017년, 유럽 연합 (EU) 유럽 위원회 (EC)는 노선 제거로 인해 유럽 연합 (EU) 경쟁법을 위반한 리투아니아 철도에 2,787만 유로의 벌금을 부과했다. 2020년에는 국경 간 노선과 화물 서비스가 940만유로의 비용으로 복구되었다.[6]
2017년 5월, 리투아니아 철도는 유럽과 중국 간의 새로운 국제 탱크 컨테이너 열차 서비스 출범을 지원한 여러 회사 중 하나였다.[7]
3. 3. 인프라 관리 (LTG Infra)
LTG 인프라(LTG Infra)는 리투아니아 철도 인프라의 유지 보수 및 개발을 담당하는 LTG 그룹의 자회사이다.[1]LTG 인프라가 추진하는 주요 인프라 투자 중 하나는 레일 발티카(Rail Baltica)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와 에스토니아 수도 탈린(Tallinn) 사이에 표준 궤 고속 철도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4] 이 프로젝트의 리투아니아 구간은 392km의 노선이 전국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기존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철도 노드가 카우나스(Kaunas)에 건설될 예정이다.[15]
2010년대 후반에는 광범위한 철도 전철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이 발표되었으며, 2030년까지 리투아니아 철도 네트워크의 39%를 전철화하겠다는 목표가 발표되었다. 이는 2020년까지 이미 전철화된 8%보다 상당한 증가를 의미한다.[2] 2022년 10월에는 ABB에 빌뉴스(Vilnius)와 클라이페다(Klaipėda) 사이의 730km 노선에 25kV 교류 전철화 장비를 공급하는 계약이 체결되었다.[22]
다른 투자 분야로는 복선화, 통신 시스템 개선, 여객 정보 시스템, 에너지 효율화 계획, 정기 유지 보수, 소음 감소, 궤도 갱신 프로그램 등이 있다.[2] 2021년에는 핵심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가 2.289억유로로 두 배로 증가했으며, 이 중 대부분은 인프라 관련 사업에 투입되었다.[2]
4. 노선
리투아니아 철도는 리투아니아 국내에 총 연장 1,877.2km의 노선망을 가지고 있으며, 여객 수송 및 화물 수송을 하고 있다.[25] 노선망의 대부분은 광궤이지만, 일부 구간에는 표준궤와 협궤도 존재한다.
2010년대 후반, 철도 전철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이 발표되었으며, 2030년까지 리투아니아 철도 네트워크의 39%를 전철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2020년까지 이미 전철화된 8%보다 상당한 증가를 의미한다.[2]
4. 1. 주요 노선 (광궤)
노선명 | 거리 |
---|---|
쿠제이lt - 크레팅가 | 127km |
나우요이 빌니아lt - 빌뉴스 - 카우나스 | 113km |
나우요이 빌니아 - 케나 - 국경(→민스크) | 27km |
빌뉴스 - 샬치닌카이 - 국경 | 45km |
(빌뉴스 - ) 나우요이 빌니아 - 투르만타스 - 국경(→상트페테르부르크) (상트페테르부르크-바르샤바 철도) | 139km |
(빌뉴스 - ) 렌트바리스 - 마르친코니스(→과거에는 벨라루스 방면으로 연결되었으나 휴지) (상트페테르부르크-바르샤바 철도) | 107km |
세니에이 트라카이 - 트라카이 | 9km |
카우나스 - 키발타이 - 국경(→칼리닌그라드) | 94km |
카즈루 루다 - 알리투스 | 103km |
팔레모나스 - 가이주나이 | 25km |
린카이체이 - 샤펠리아이lt - 국경 | 156km |
샤울레이 - 요니슈키스 - 국경(→리가) | 60km |
쿠제이 - 마제이키아이 | 63km |
크레팅가 - 스쿠오다스 - 국경 | 48km |
라드빌리쉬키스 - 파게게이 | 143km |
크레팅가 - 클라이페다 - 파게게이 - 국경 | 115km |
슈벤치오넬리아이lt - 우테나 | 59km |
림카이 - 드라우기스테 기차역lt | 3km |
카이셰도리스 - 라드빌리쉬키스 - 쿠제이 | 161km |
4. 2. 표준궤 노선
리투아니아 철도는 광궤가 주를 이루지만, Rail Baltica 프로젝트에 의해 폴란드 국경에서 카우나스까지 구간에 표준궤가 부설되어 있다(일부 구간은 광궤와의 사선 궤조를 포함).[25] 이 표준궤 노선은 향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로 이어질 계획이다.[25]- 표준궤(1435mm)
- * 카우나스 - - 국경: 120km
4. 3. 전철화 구간
2010년대 후반, 광범위한 철도 전철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이 발표되었으며, 2030년까지 리투아니아 철도 네트워크의 39%를 전철화하겠다는 목표가 발표되었다. 이는 2020년까지 이미 전철화된 8%보다 상당한 증가를 의미한다.[2] 2021년에는 하이브리드 솔루션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전기 동력 공급을 위한 여러 입찰 초대가 발행되었다.[19][20]2022년 10월, ABB에 빌뉴스(Vilnius)와 클라이페다(Klaipėda) 사이의 730km 노선에 25kV 교류 전철화 장비를 공급하는 계약이 체결되었다.[22]
현재 리투아니아 철도에서 전철화된 구간은 카우나스에서 빌뉴스 및 벨라루스와의 국경 구간, 그리고 그 근교의 총 122km이다.
5. 차량
2021년 말 기준, 리투아니아 철도 그룹(LTG Group) 자회사의 차량 현황은 다음과 같다.[24]
종류 | 세부 종류 | 수량 |
---|---|---|
기관차 | TEP70, 2M62, TEM2, 지멘스 ER20 | 218량 |
DMU | Pesa 730ML | 28량 |
EMU | Škoda EJ 575, ER9 | 14량 |
철도차량 | Pesa 620M, Pesa 630M | 13량 |
객차 | 여객 객차 | 23량 |
EMU 객차 | 42량 | |
DMU 객차 | 92량 | |
화물 객차 | 7176량 | |
화물 기관차 | 171량 | |
여객 기관차 | 17량 | |
입환기 | 89량 | |
디젤 동차 | 58량 | |
전동차 | 17량 |
6. 국제 협력
2008년, 폴란드 석유 회사 PKN 오를렌(PKN Orlen)이 리투아니아 마제이키아이(Mažeikiai) 정유소에서 벤츠필스(Ventspils)의 라트비아 항구로 화물을 우회하려는 계획에 대응하여, 리투아니아 철도는 국경 간 노선을 일방적으로 해체했다. 2017년, 유럽 연합 (EU) 유럽 위원회 (EC)는 노선 제거로 인해 유럽 연합 경쟁법을 위반한 리투아니아 철도에 27870000EUR의 벌금을 부과했다. 2020년에는 국경 간 노선과 화물 서비스가 9400000EUR의 비용으로 복구되었다.[6]
2017년 9월에는 리투아니아와 벨라루스 간에 최초의 전철화된 국경 간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8]
6. 1. 레일 발티카
LTG 인프라가 추진하는 핵심 인프라 투자 중 하나는 레일 발티카(Rail Baltica)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와 에스토니아 수도 탈린(Tallinn) 사이에 표준궤 고속철도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4] 리투아니아 구간은 392km의 노선이 전국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기존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철도 노드가 카우나스(Kaunas)에 건설될 예정이다.[15]리투아니아 철도 노선망 대부분은 광궤이지만, Rail Baltica에 의해 폴란드와의 국경에서 카우나스까지 구간에 표준궤가 부설되어 있다(일부 구간은 광궤와의 사선궤조 포함). 이 표준궤 네트워크는 향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로 이어질 계획이다.
6. 2. 기타 국제 협력
2017년 5월, 리투아니아 철도는 유럽과 중국 간의 새로운 국제 탱크 컨테이너 열차 서비스 출범을 지원했다.[7] 2018년 5월 29일, 발트 3국의 철도 회사들은 탈린(Tallinn)과 리가(Riga)를 셰스토카이(Šeštokai)의 리투아니아-폴란드 국경까지 연결하는 ''앰버 트레인(Amber Train)''이라는 새로운 복합 화물 서비스 출범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9]2020년 5월, 독일과 리투아니아 간의 시험 화물 열차가 LTG 카고와 독일의 복합 화물 전문 업체 카고빔(CargoBeamer)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운영되었다.[16] 그 해 9월에는 LTG 링크(LTG Link)와 폴란드 운영업체 PKP 인터시티(PKP Intercity)가 빌뉴스(Vilnius)와 바르샤바 간의 국경 간 도시간 여객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기 위한 의향서에 서명했다고 발표되었다.[17] 2021년 3월, 독일 전문 업체인 IVU 트래픽 테크놀로지스(IVU Traffic Technologies)가 리투아니아 철도에 디지털 자원 계획 및 실시간 교통 관리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8]
리투아니아 철도는 다음 국가들과 철도 연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ew structure boosts Lithuanian Railways’ competitiveness
https://www.railjour[...]
2020-11-05
[2]
웹사이트
Railway Operations in Lithuania
http://www.railfaneu[...]
railfaneurope.net
[3]
웹사이트
AB „Lietuvos geležinkeliai“ Metinė ataskaita
https://www.litrail.[...]
Lietuvos geležinkeliai
2023-03-02
[4]
웹사이트
AB „Lietuvos geležinkeliai“ Metinė ataskaita
https://www.litrail.[...]
Lietuvos geležinkeliai
2023-07-04
[5]
웹사이트
„Lietuvos geležinkeliai“
https://www.vle.lt/s[...]
2021-10-16
[6]
웹사이트
Lithuania - Latvia rail link reopens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20-02-17
[7]
웹사이트
China - Europe tank container train launched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17-05-30
[8]
웹사이트
Minsk - Vilnius electrification completed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17-09-19
[9]
웹사이트
Baltic states launch Amber Train intermodal rail service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18-05-31
[10]
웹사이트
EU funds help to unlock rail's potential in Eastern Europe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16-03-15
[11]
웹사이트
Lithuanian Railways revenue up 12.5% in 2018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19-01-21
[12]
웹사이트
Lithuanian Railways to establish passenger subsidiary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19-08-21
[13]
웹사이트
LTG Group reports profit for 2020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21-05-20
[14]
웹사이트
Rail Baltica joint venture outlines plans for 2019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19-01-23
[15]
웹사이트
LTG Infra outlines 2021 spending plans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21-02-11
[16]
웹사이트
Embracing intermodal: PKP Cargo develops new strategy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20-06-15
[17]
웹사이트
LTG Link and PKP Intercity to launch Vilnius - Warsaw service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20-09-18
[18]
웹사이트
Lithuanian Railways to rollout new fleet and staff management software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21-03-16
[19]
웹사이트
LTG Link to acquire 30 new electric trains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21-01-05
[20]
웹사이트
IRJ In-Brief - Fleet: Approval for first expanded Desiro Mainline fleet; M7bmx begins operation in Belgium; electric locomotives for Lithuania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21-08-26
[21]
웹사이트
LTG Link launches new ticketing website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22-04-11
[22]
웹사이트
Vilnius - Klaipeda electrification contract signed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22-10-21
[23]
뉴스
Train tickets now available via Google Maps
https://www.delfi.lt[...]
Delfi.lt
2024-03-06
[24]
웹사이트
Rodiklių duomenų bazė - Oficialiosios statistikos portalas
https://osp.stat.gov[...]
2023-05-13
[25]
웹사이트
Railway Operators in Lithuania
http://www.railfaneu[...]
[26]
문서
Geležinkelių istorija
http://www.litrail.l[...]
[27]
문서
The History Pages of Lithuanian Railways
http://www.litrail.l[...]
[28]
문서
"Railway Operations in Lithuania"
http://www.railfaneu[...]
[29]
웹인용
AB „Lietuvos geležinkeliai“ Metinė ataskaita
https://www.litrail.[...]
Lietuvos geležinkeliai
2021-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